전국 강타한 '황사' 황사 피해 최대한 줄이려면?

황토색 하늘, 매캐한 냄새, 썰렁한 거리.

21일 최악의 황사(黃砂)에 시민들의 일상생활도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시민들은 외출을 꺼려 대도시 도심은 휴일처럼 한산했고, 반면 병원은 호흡기.안과 환자로 붐볐다. 학교에선 체육 등 야외 학습이 일제히 취소됐고 야외 놀이시설이나 건축 공사장은 사실상 일손을 놓다시피했다.

● 황사 왜 심해졌나, 숲 파괴가 부른 재앙

서울의 황사 발생일수는 1999년 6일에서 2000년 10일, 지난해 27일로 늘었다.
또 연평균 발생 일수도 61~90년 2.6일에서 90~2001년엔 8.8일로 커졌다. 99년 이후에는 황사가 봄뿐 아니라 1월과 12월에도 발생하는 등 계절을 가리지 않고 있다.

특히 올해엔 황사의 진원지인 중국 북부지역에 높은 기온과 가뭄이 계속돼 예전보다 큰 피해가 우려된다.

최근 황사가 자주 발생하는 것은 중국 서부 내륙 지역이나 네이멍구(內蒙古)지역이 사막이 됐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중.일 환경보호센터는 95~2000년 중국 허베이(河北)와 네이멍구에서 80만㏊ 초원과 삼림이 파괴돼 더 심한 황사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90년대 이후의 과도한 개간.방목.땔감 채취도 원인이다.

● 피해 및 방지대책

한번 황사가 발생하면 동아시아 상공은 약 1백만t의 먼지로 뒤덮인다. 이 가운데 한반도엔 15t짜리 덤프트럭 4천~5천대 분량인 4만6천~8만6천t정도가 쌓인다.

이때 중금속.유해물질 농도는 평상시 ㎥당 50~70㎍(마이크로그램, 천분의 1㎎)에서 1천㎍ 이상으로 치솟는다. 이에 따라 눈병과 기관지염.천식 등 호흡기 환자가 급증한다. 또 기존 질환이 악화돼 사망자가 늘기도 한다.

이달 초 미국 뉴욕대학은 ㎥당 미세먼지가 연평균 10㎍ 증가하면 폐암 사망자가 8%나 는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황사는 또 농작물 성장을 방해하며 정밀기계에 손상을 주고 반도체 생산공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황사를 막는 데는 시간이 걸려도 조림(造林)을 통해 사막화를 방지하는 게 최선이다. 중국 조림부도 지난 20일 5백억위안(약 8조2천억원)을 들여 10년간 베이징에 4백16만 ㎢의 숲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 눈병·호흡기질환 등 건강관리 '비상'

고려대 안암병원 호흡기내과 유세화 교수는 "황사와 건조한 날씨로 인해 호흡기의 일차방어막인 코와 기관지 점막이 말라서 바이러스가 쉽게 침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사는 또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안구를 자극해 자극성 각결막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건조해진 실내공기와 겹치면서 안구건조증을 심화시키는 등 각종 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황사현상이 심할 때는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황사로 인한 질병을 막는 최선의 예방법이며, 불가피하게 외출하고 집에 돌아온 후에는 반드시 양치질을 하고 얼굴과 눈, 코 등을 깨끗한 물로 씻는 게 좋다.

또 황사로 인해 눈이 따끔거리고 간지러움증을 느낄 때는 식염수로 안구를 씻어주고 인공누액으로 자주 안구를 세척해 주는 게 좋다.

외출할 때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함으로써 눈에 먼지가 적게 들어가게 하는것도 황사피해를 줄이는 한가지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 황사 대처 요령

① 콘택트 렌즈를 빼고 안경을 쓴다.
② 출입문.창문을 닫아 먼지 유입을 막는다.
③ 외출 후 돌아와 손발을 씻고 양치질을 한다.
④ 운동.등산 같은 격렬한 실외 활동을 피한다.
⑤ 실외 활동시 마스크.안경 등을 착용한다.
⑥ 강풍이 부니 시설물 관리에 신경쓴다.
⑦ 황사가 지나간 후 집 안팎을 물청소한다.